야구 초보자를 위한 기본 규칙 & 포지션 설명

이 글에서는 야구 초보자를 위한 기본 규칙 & 포지션 설명에 대해 알아봅니다. 야구 입문자를 위해 알아두면 좋을 기본적인 경기 규칙과 각 선수의 포지션 및 역할에 대해 살펴봅니다.

야구 초보자를 위한 기본 규칙 & 포지션 설명

게임의 목표

  • 두 팀이 겨루어 상대 팀보다 더 많은 점수를 얻어 승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공격과 수비

  • 야구 경기는 공격수비를 번갈아 진행합니다.
  • 한 팀이 공격할 때 상대 팀은 수비하며, 정해진 아웃 카운트(3개)를 잡으면 서로 역할을 바꿉니다.
  • 공격과 수비를 한 번씩 주고받는 것을 이닝(inning)이라고 합니다.
    • 일반적으로 원정팀이 먼저 공격하는 것을 ‘초(Top)‘, 홈팀이 나중에 공격하는 것을 ‘말(Bottom)‘이라 합니다.
    • 예시: 1회초(원정팀 공격), 1회말(홈팀 공격)
  • 정규 경기는 보통 9이닝까지 진행되며, 9회말까지 동점일 경우 승부가 날 때까지 연장 이닝을 진행합니다.

득점 방법

  • 공격팀의 선수가 1루, 2루, 3루를 순서대로 밟고 마지막으로 홈 플레이트(Home plate)를 밟으면 1점을 얻습니다.
  • 타자가 공을 쳐서 수비수에게 잡히지 않고 베이스에 살아나가거나(안타), 투수가 던진 공이 볼 4개가 되어 걸어나가면(볼넷) 주자가 되어 베이스에 나아갑니다.
  • 예시:
    • 주자 없는 상황에서 타자가 홈런을 치면, 타자 주자가 모든 베이스를 돌아 홈을 밟으므로 1점을 얻습니다.
    • 1루와 3루에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타자가 안타를 쳐 3루 주자가 홈을 밟으면 1점을 얻고, 타자는 1루에, 1루 주자는 2루나 3루로 진루합니다.

아웃(Out)

  • 수비팀이 공격팀의 득점을 막기 위해 공격 선수를 아웃시키는 것입니다. 한 이닝에 3개의 아웃 카운트를 잡으면 공수가 교대됩니다.
  • 주요 아웃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삼진 아웃(Strikeout): 타자가 투수가 던진 공에 스트라이크를 3번 당하는 경우.
    • 플라이 아웃(Flyout): 타자가 친 공이 땅에 닿기 전에 수비수가 공중에서 잡는 경우. 이때 베이스에 있던 주자는 원래 베이스로 돌아가거나(리터치), 공을 잡은 것을 확인 후 다음 베이스로 뛸 수 있습니다(태그업).
    • 포스 아웃(Force out):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의무적으로 가야 하는 상황에서, 수비수가 공을 가지고 해당 베이스를 주자보다 먼저 밟는 경우.
      • 예시: 1루에 주자가 있고 타자가 땅볼을 쳤을 때, 1루 주자는 2루로 반드시 진루해야 하고, 타자는 1루로 뛰어야 합니다. 이때 수비수가 공을 잡아 1루 또는 2루 베이스를 주자보다 먼저 밟으면 해당 주자는 포스 아웃됩니다.
    • 태그 아웃(Tag out): 수비수가 공을 가진 손이나 글러브로 베이스 위에 있지 않은 주자의 몸을 직접 터치하는 경우.
      • 예시: 주자가 2루 도루를 시도할 때, 포수가 던진 공을 받은 2루수가 베이스 근처에서 주자를 태그하여 아웃시킵니다.

볼넷(Walk)과 삼진(Strikeout)

  • 볼넷(Base on Balls, BB): 투수가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 존을 벗어나 볼(Ball) 판정을 4번 받으면, 타자는 자동으로 1루까지 걸어나갑니다.
  • 삼진(Strikeout, SO): 타자가 스트라이크(Strike) 판정을 3번 받으면 아웃됩니다. 스트라이크는 스윙을 헛하거나,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한 공을 치지 않거나, 파울 타구를 만들어 내는 경우(2스트라이크 이후 특정 상황 제외) 선언됩니다.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

  • 타자가 정상적인 타격 자세를 취했을 때, 어깨 윗부분과 무릎 아랫부분 사이의 공간으로 홈 플레이트 위를 통과하는 가상의 영역을 말합니다.
  • 투수가 던진 공이 이 영역을 통과하면 주심은 스트라이크를 선언합니다.
  • 타자가 스윙하여 맞추지 못해도 스트라이크입니다.
  • 파울 볼(친 공이 페어 지역 바깥으로 나가는 경우)은 스트라이크로 기록되지만, 2스트라이크 상황 이후의 파울 볼은 스트라이크 카운트에 추가되지 않습니다 (번트 파울 제외).

주자(Runner)와 진루(Advancing)

  • 타자가 안타, 볼넷 등으로 아웃되지 않고 1루, 2루, 또는 3루에 도착하면 주자가 됩니다.
  • 주자는 다음 타자의 타격 결과, 상대 팀의 실책, 도루(Steal), 폭투(Wild pitch)나 패스트볼(Passed ball) 등 다양한 상황을 통해 다음 베이스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이를 진루라고 합니다.
  • 진루는 항상 홈 -> 1루 -> 2루 -> 3루 -> 홈 순서, 즉 반시계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게임 종료 조건

  • 일반적으로 9이닝까지 진행한 후, 더 많은 점수를 얻은 팀이 승리합니다.
  • 9회말 종료 시 동점이면 승부가 결정될 때까지 연장 이닝을 진행합니다 (리그 규정에 따라 무승부 또는 이닝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큰 점수 차이나 기상 악화 등 특정 조건에서는 심판의 판단 하에 정식 이닝 이전에 경기가 종료될 수 있으며, 이를 콜드 게임(Called Game)이라고 합니다 (리그나 대회마다 기준이 다릅니다).

수비 포지션 개요

  • 수비 시 각 팀은 9명의 선수를 필드에 배치합니다. (지명타자 제도가 있는 리그는 공격 시 타자만 교체)
  • 각 선수는 정해진 위치와 역할을 수행하며, 크게 배터리(투수와 포수), 내야수, 외야수로 나눌 수 있습니다.

투수 (Pitcher, P)

  • 경기장 중앙의 마운드(Mound) 위에서 타자를 향해 공을 던지는 선수입니다.
  • 경기의 시작과 흐름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역할입니다.
  • 다양한 종류의 공(구종)을 던져 타자가 치기 어렵게 만들고, 정확한 위치에 공을 던지는 능력(제구력)이 중요합니다.

포수 (Catcher, C)

  • 홈 플레이트 뒤에 앉아 투수가 던진 공을 받는 선수입니다.
  • 투수와 사인을 교환하며 어떤 공을 던질지 결정(투수 리드)하고, 주자의 도루를 저지하며 홈 베이스를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 경기 전체 상황을 파악하고 수비 위치를 조율하기도 합니다. 튼튼한 신체와 블로킹 능력이 요구됩니다.

1루수 (First Baseman, 1B)

  • 1루 베이스 주변을 수비하는 내야수입니다.
  • 다른 내야수들이 땅볼을 잡아 던진 공을 안정적으로 포구하여 타자 주자를 아웃시키는 것이 주된 임무입니다. 키가 크고 포구 능력이 좋은 선수가 유리합니다.
  • 왼손잡이 선수도 비교적 쉽게 수비할 수 있는 포지션입니다.

2루수 (Second Baseman, 2B)

  • 1루와 2루 사이의 내야 영역을 책임지는 선수입니다.
  • 넓은 수비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빠른 발과 순발력이 필요합니다.
  • 유격수와 함께 2루 베이스 주변에서 더블 플레이(Double Play, 병살)를 완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루수 (Third Baseman, 3B)

  • 3루 베이스 주변을 수비하는 내야수입니다.
  • 타자의 강하고 빠른 타구가 많이 날아오는 위치로 ‘핫 코너(Hot Corner)’라고도 불립니다.
  • 빠른 반사 신경과 강한 어깨(1루까지 멀리 송구해야 함)가 요구됩니다.

유격수 (Shortstop, SS)

  • 2루와 3루 사이, 내야에서 가장 넓은 범위를 담당하는 핵심 수비수입니다.
  • 빠른 발, 넓은 수비 범위, 강한 어깨, 민첩성 등 뛰어난 운동 능력이 필요합니다.
  • 2루수와 함께 내야 수비의 중심을 이루며 많은 땅볼 타구를 처리하고 더블 플레이 연결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좌익수 (Left Fielder, LF)

  • 외야의 왼쪽 영역을 수비하는 선수입니다.
  • 뜬공 타구를 잡거나, 좌측 펜스까지 굴러가는 장타성 타구를 빠르게 처리하여 주자의 진루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견수 (Center Fielder, CF)

  • 외야의 가운데, 가장 넓은 영역을 책임지는 선수입니다.
  • 빠른 발과 정확한 타구 판단 능력이 필수적이며, 외야 수비를 총괄하는 리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 외야에서 가장 수비 부담이 큰 포지션 중 하나입니다.

우익수 (Right Fielder, RF)

  • 외야의 오른쪽 영역을 수비하는 선수입니다.
  • 3루나 홈까지의 송구 거리가 멀기 때문에 외야수 중 가장 강한 어깨를 가진 선수가 맡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명타자 (Designated Hitter, DH)

  • 수비에는 참여하지 않고, 투수 대신 타석에 들어서는 공격 전문 선수입니다.
  • 타격 능력이 뛰어난 선수가 주로 맡습니다.
  • KBO 리그나 MLB 아메리칸 리그 등 특정 리그에서 운영하는 제도이며, 리그 규정에 따라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야구, 이 용어는 알고 보자

야구 중계를 보거나 관련 이야기를 나눌 때 자주 등장하는 핵심 용어들을 알아두면 경기를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습니다.

안타(Hit) 관련 용어

  • 단타(Single): 타자가 공을 쳐서 수비수에게 잡히지 않고 안전하게 1루까지 도달하는 안타입니다.
  • 2루타(Double): 타자가 공을 쳐서 2루까지 안전하게 도달하는 안타입니다.
  • 3루타(Triple): 타자가 공을 쳐서 3루까지 안전하게 도달하는 안타입니다. 흔히 발 빠른 타자들이 기록합니다.
  • 홈런(Home Run, HR):
    • 장외 홈런: 타자가 친 공이 페어 지역의 외야 펜스를 넘어가는 경우입니다. 타자와 모든 주자는 자동으로 홈까지 들어와 득점합니다.
    •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Inside-the-park Home Run): 타구가 필드 안에 머물렀지만, 수비의 실책 없이 타자 주자가 홈까지 들어오는 경우입니다. 매우 빠른 발과 수비의 허점이 결합될 때 나옵니다.
  • 내야 안타(Infield Hit): 타구가 내야 수비 범위 안에 떨어졌으나, 타자 주자의 발이 워낙 빨라 수비수가 공을 잡아 1루로 던지기 전에 먼저 베이스를 밟아 안타가 되는 경우입니다.

득점 및 진루 관련 용어

  • 타점(Run Batted In, RBI): 타자가 자신의 타격(안타, 홈런, 희생 번트, 희생 플라이 등) 결과로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여 득점을 만들었을 때 기록되는 점수입니다.
    • 예시: 1, 3루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타자가 2루타를 쳐서 두 주자가 모두 홈으로 들어오면 2타점이 기록됩니다. 만루 홈런은 타자 본인을 포함해 4점이 나므로 4타점이 됩니다.
  • 희생 번트(Sacrifice Bunt): 주로 주자가 베이스에 있을 때(보통 무사 또는 1사), 타자가 자신은 아웃될 것을 각오하고 배트를 눕혀 의도적으로 공을 살짝 굴려 주자를 다음 베이스로 안전하게 보내는 작전입니다.
  • 희생 플라이(Sacrifice Fly): 주자가 3루에 있을 때(보통 무사 또는 1사), 타자가 외야로 멀리 뜬공을 쳐서 외야수가 공을 잡더라도(플라이 아웃), 3루 주자가 리터치 후 홈으로 뛰어 태그보다 먼저 들어와 득점하는 방식입니다. 타자는 아웃되지만 1타점이 기록됩니다.
  • 도루(Stolen Base, SB): 주자가 투수가 투구하는 틈을 타거나 포수가 공을 잡고 송구하는 시간보다 빠르게 다음 베이스를 향해 뛰어서 성공하는 행위입니다.
  • 폭투(Wild Pitch, WP): 투수가 던진 공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거나 옆으로 빠져 포수가 정상적으로 처리하기 힘든 투구를 말합니다. 폭투가 발생하는 동안 주자는 다음 베이스로 진루할 수 있습니다. (투수 기록상 책임)
  • 포일(Passed Ball, PB): 투수가 던진 공은 잡을 만했으나 포수가 이를 제대로 잡지 못하고 뒤로 흘리는 경우를 말합니다. 폭투와 마찬가지로 주자는 진루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포수 기록상 책임)

수비 관련 용어

  • 실책(Error, E): 수비수가 평범하게 처리할 수 있었던 타구나 송구를 실수로 놓치거나 빠뜨려 타자나 주자를 살려주는 플레이입니다. 점수를 주지 않더라도 기록상으로는 실책이 됩니다.
  • 더블 플레이(Double Play, DP) | 병살타: 수비 팀이 한 번의 플레이 연결로 공격 팀의 선수 두 명을 동시에 아웃시키는 수비입니다.
    • 예시: 1루에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타자가 땅볼을 치면, 이를 잡은 유격수가 2루 베이스를 밟아(포스 아웃, 1아웃) 1루로 송구하여 타자 주자까지 잡는(2아웃)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 트리플 플레이(Triple Play, TP) | 삼중살: 한 번의 플레이로 공격 팀 선수 세 명을 모두 아웃시키는 매우 드물고 어려운 수비입니다.

기타 용어

  • 데드볼(Dead Ball) | 사구(Hit by Pitch, HBP): 투수가 던진 공이 타석에 있는 타자의 몸에 직접 맞는 것을 의미합니다. 타자는 자동으로 1루까지 진루하게 됩니다. 단, 스윙하다 맞거나 고의로 맞으러 갔다고 심판이 판단하면 볼이나 스트라이크가 선언될 수 있습니다.
  • 보크(Balk): 베이스에 주자가 있을 때, 투수가 규정에 어긋나는 속임 동작이나 비정상적인 투구 관련 행위를 하는 경우 선언됩니다. 보크가 선언되면 모든 주자는 다음 베이스로 안전하게 진루합니다.
    • 예시: 세트 포지션에서 완전히 멈추지 않고 던지거나, 주자가 없는 베이스에 견제구를 던지는 척 하는 행위 등.

투수 관련 주요 기록 | 통계

투수의 능력을 평가하고 경기의 흐름을 읽는 데 도움이 되는 주요 기록 지표들입니다.

평균자책점 (Earned Run Average, ERA)

  • 투수가 9이닝을 던졌다고 가정했을 때, 상대 팀에게 내주는 평균적인 자책점을 나타내는 기록입니다. (자책점: 투수에게 책임이 있는 실점)
  • 낮을수록 뛰어난 투수로 평가받으며, 투수의 가장 대표적인 평가 지표 중 하나입니다.
  • 계산식: (자책점 × 9) ÷ 투구 이닝 수

승리(Win, W) / 패전(Loss, L)

  • 승리 투수: 투수가 마운드에 있는 동안 소속팀이 리드를 잡았고, 그 리드가 경기 종료 시점까지 유지되었을 때,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투수에게 주어집니다. (선발 투수는 보통 5이닝 이상 투구해야 함)
  • 패전 투수: 투수가 마운드에 있는 동안 상대 팀에게 리드를 허용했고, 그 리드가 재역전 없이 경기 종료 시점까지 유지되었을 때 그 투수에게 주어집니다.
  • 승패는 팀 득점 지원 등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세이브 (Save, SV)

  • 팀이 리드하고 있는 상황에서 등판한 구원 투수가 그 리드를 지키고 경기를 마무리했을 때 기록됩니다.
  • 세이브 조건은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습니다. (예: 3점 이하 리드 상황에서 1이닝 이상 투구, 주자 상황에 따른 특정 점수 차에서 등판 등)
  • 주로 팀의 마무리 투수가 기록합니다.

홀드 (Hold, HLD)

  • 팀이 리드하고 있는 중간 상황에 등판한 구원 투수가 리드를 지키면서 다음 투수에게 마운드를 넘겨주었을 때 기록됩니다. (세이브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중간 계투)
  • 세이브와 마찬가지로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승리, 패전, 세이브를 기록하지 않은 중간 계투 투수의 활약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이닝 소화 (Innings Pitched, IP)

  • 투수가 던진 총 이닝 수를 나타냅니다. 1이닝은 아웃 카운트 3개를 의미하며, 아웃 카운트 1개는 ⅓이닝(표기 시 .1), 2개는 ⅔이닝(표기 시 .2)으로 표기합니다.
  • 예시: 5와 ⅔이닝 = 5.2 IP (5이닝 동안 아웃 17개)
  • 많은 이닝을 소화하는 투수는 팀에 기여도가 높다고 평가받습니다.

피안타율 (Opponent Batting Average, OBA / AVG allowed)

  • 투수가 상대 타자들에게 허용한 안타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 낮을수록 타자들이 공략하기 어려운 투수임을 의미합니다.
  • 계산식: 총 피안타 수 ÷ 총 상대 타수

WHIP (Walks Plus Hits per Inning Pitched)

  • 이닝당 허용한 볼넷과 안타의 합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투수가 한 이닝에 얼마나 많은 주자를 내보내는지를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낮을수록 안정적인 투수로 평가됩니다.
  • 계산식: (볼넷 허용 + 안타 허용) ÷ 투구 이닝 수

타자 관련 주요 기록 | 통계

타자의 공격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핵심적인 지표들입니다.

타율 (Batting Average, AVG)

  • 타자가 안타를 생산해내는 비율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입니다.
  • 높을수록 안타를 잘 치는 타자로 평가받습니다.
  • 계산식: 총 안타 수 ÷ 총 타수 (볼넷, 사구, 희생번트 등은 타수에서 제외됨)
  • 예시: 10번 타석에 들어서 3개의 안타를 기록했다면 타율은 0.300(3할)입니다.

출루율 (On-base Percentage, OBP)

  • 타자가 타석에서 얼마나 자주 베이스에 살아 나가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안타뿐만 아니라 볼넷, 몸에 맞는 공(사구)을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 타율보다 타자의 선구안과 베이스에 나가는 능력을 더 종합적으로 보여줍니다.
  • 계산식: (안타 + 볼넷 + 사구) ÷ (타수 + 볼넷 + 사구 + 희생플라이)
READ  축구 전술 기초 설명 | 4-3-3, 4-4-2, 3-5-2 전술 비교

장타율 (Slugging Percentage, SLG)

  • 타자가 한 타수당 평균적으로 얼마나 많은 베이스를 진루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안타의 종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 단타는 1루타, 2루타는 2루타, 3루타는 3루타, 홈런은 4루타로 계산하여 총 루타(루타수)를 구하고, 이를 타수로 나눕니다.
  • 높을수록 한 방(장타)을 칠 수 있는 능력이 좋은 타자로 평가받습니다.
  • 계산식: 총 루타 수 (단타×1 + 2루타×2 + 3루타×3 + 홈런×4) ÷ 총 타수

OPS (On-base Plus Slugging)

  •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을 단순히 합한 값으로, 타자의 전반적인 공격 생산성을 평가하는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인 현대 야구의 핵심 지표 중 하나입니다.
  • 높을수록 타격에서 팀에 크게 기여하는 타자로 평가됩니다.
  • 계산식: 출루율(OBP) + 장타율(SLG)

경기 상황 | 전략 용어

경기의 흐름이나 팀의 작전과 관련된 용어들입니다.

클러치 상황 (Clutch situation)

  • 경기 후반의 접전 상황, 득점권에 주자가 있는 찬스 등 승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순간을 의미합니다.
  • 이런 상황에서 안타나 홈런을 치는 것을 ‘클러치 히터’의 능력이라고 표현합니다.

작전 야구 (Strategic Play)

  • 경기 상황에 따라 점수를 내거나 진루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구체적인 전술을 말합니다.
    • 희생 번트/플라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웃카운트 하나를 내주면서 주자를 진루시키거나 득점시키는 작전.
    • 히트 앤드 런 (Hit and Run): 주자가 미리 도루를 시작하고 타자는 투구 코스와 관계없이 무조건 스윙하여 공을 맞추는 작전. 성공 시 주자 진루를 돕고 병살을 피할 수 있으나, 실패 시 리스크가 큽니다.
    • 런 앤드 히트 (Run and Hit): 히트 앤드 런과 비슷하지만, 타자가 좀 더 유리한 공을 골라서 칠 재량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대타 (Pinch Hitter, PH)

  • 경기 중 타석에 들어설 차례인 선수를 대신하여 타석에 들어서는 선수입니다.
  • 주로 상대 투수와의 상성, 경기 후반의 승부처 등 전략적인 판단에 따라 기용됩니다.
  • 대타로 교체된 선수는 해당 경기에서 더 이상 뛸 수 없습니다.

대주자 (Pinch Runner, PR)

  • 베이스에 있는 주자를 대신하여 교체 투입되는 선수입니다.
  • 주로 발이 빠르거나 주루 센스가 좋은 선수가 경기 후반 도루나 추가 진루가 필요한 상황에 기용됩니다.
  • 대주자로 교체된 선수도 해당 경기에서 더 이상 뛸 수 없습니다.

대수비 (Defensive Substitute)

  • 경기 후반 수비를 강화하기 위해 공격적인 선수 대신 수비 능력이 뛰어난 선수를 특정 포지션에 투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 리드를 지켜야 하는 상황에서 실책을 줄이고 안정적인 수비를 꾀할 때 사용됩니다.
  • 대수비로 교체되어 나간 선수 역시 해당 경기에 다시 참여할 수 없습니다.

기타 흔히 쓰이는 용어

경기 중계 등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기타 용어들입니다.

풀카운트 (Full Count)

  • 타석에 선 타자의 볼 카운트가 3볼 2스트라이크가 된 상황을 말합니다.
  • 투수는 스트라이크를 던져야 하고, 타자는 다음 공 결과에 따라 삼진 혹은 볼넷/안타가 결정되는 긴장감 있는 순간입니다.

체크 스윙 (Check Swing)

  • 타자가 스윙을 하려다 중간에 배트를 멈추는 동작을 말합니다.
  • 심판은 배트가 홈 플레이트 위를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스윙(스트라이크) 또는 노 스윙(볼 판정으로 이어짐)을 선언합니다. 보통 1루심 또는 3루심에게 확인을 요청합니다.

리드 (Lead)

  •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진루하거나 도루하기 위해 원래 있던 베이스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것을 말합니다.
  • 투수는 주자의 리드 폭을 보고 견제구를 던져 아웃시키거나 움직임을 묶어 놓으려 합니다.

슬라이딩 (Sliding)

  • 주자가 베이스에 도달할 때 수비수의 태그를 피하거나, 포스 아웃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더 빨리 베이스에 닿기 위해 몸을 낮춰 미끄러지듯 들어가는 기술입니다. 헤드 퍼스트 슬라이딩, 발부터 들어가는 슬라이딩 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우천 취소 / 일시 중단 (Rainout / Rain Delay)

  • 비나 악천후로 인해 경기를 시작하지 못하거나(우천 취소) 경기 도중 일시적으로 중단하는(우천 중단) 상황을 말합니다.
  • 정식 경기 성립 이닝(보통 5회) 이전에 취소되면 노 게임(No Game)이 선언되어 경기가 없던 것으로 간주되며, 추후 재편성될 수 있습니다.

스코어보드 (Scoreboard)

  • 경기장 전광판 또는 TV 중계 화면에 표시되는 점수판을 의미합니다.
  • 보통 현재 이닝, 각 팀의 득점, 아웃 카운트(SBO – 스트라이크, 볼, 아웃), 주자 상황, 투구 수 등을 실시간으로 보여줍니다. 이 스코어보드를 읽을 수 있으면 경기의 흐름을 파악하기 쉽습니다.

야구장의 페어 지역과 파울 지역

타자가 친 공이 어디로 향하느냐에 따라 경기의 진행 방식이 달라집니다. 핵심은 페어(Fair) 지역과 파울(Foul) 지역의 구분입니다.

페어 볼 (Fair Ball)

  • 정의: 홈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1루 베이스와 3루 베이스를 잇는 선(파울 라인)과 그 선상, 그리고 라인 안쪽의 필드 영역을 말합니다. 외야 펜스까지 이 영역은 계속 확장됩니다.
  • 특징: 페어 볼은 인플레이 상태의 공으로, 경기가 계속 진행됩니다.
  • 판정 기준:
    • 타구가 내야에서 파울 라인 안쪽(페어 지역)에 최종적으로 멈춘 경우.
    • 타구가 파울 라인 안쪽의 땅이나 해당 영역 내 수비수 또는 심판에게 먼저 닿은 경우.
    • 타구가 1루 또는 3루 베이스 위나 베이스를 넘어서 페어 지역 땅에 닿거나 해당 영역 위를 지나간 경우.
    • 타구가 페어 지역 안의 외야 펜스나 시설물, 또는 페어 지역으로 표시된 파울 폴대 정면 등을 맞춘 경우.
    • 타구가 페어 지역 상공을 넘어 외야 펜스 뒤쪽(관중석 등)으로 완전히 넘어간 경우 (홈런).
  • 결과: 타자는 주자가 되어 베이스로 진루해야 하고, 다른 주자들도 상황에 따라 진루할 수 있습니다. 수비수는 타자 주자나 다른 주자를 아웃시키려 노력합니다.
  • 예시:
    • 유격수 쪽 땅볼이 페어 지역에서 구르다가 3루 베이스 안쪽에서 멈추었습니다 -> 페어 볼.
    • 오른쪽 외야로 날아간 뜬공이 파울 폴대의 노란색 선 안쪽(경기장 쪽)을 맞고 떨어졌습니다 -> 페어 볼(보통 2루타).
    • 외야 가운데로 높이 뜬 공이 외야 펜스를 훌쩍 넘었습니다 -> 페어 볼(홈런).

파울 볼 (Foul Ball)

  • 정의: 페어 지역이 아닌 모든 영역(파울 라인 바깥쪽)을 말합니다. 관중석, 덕아웃, 백스톱(포수 뒤 그물) 뒤편 등이 포함됩니다.
  • 특징: 파울 볼이 선언되면 즉시 볼 데드(Ball Dead) 상태가 되어 플레이가 중단됩니다. 주자는 원래 있던 베이스로 돌아가야 합니다.
  • 판정 기준:
    • 타구가 파울 지역에 최종적으로 멈춘 경우 (내야에서 1루나 3루 베이스에 도달하기 전에 파울 지역으로 벗어난 경우 포함).
    • 타구가 파울 지역의 땅, 고정 물체, 또는 수비수에게 처음 닿은 경우.
    • 타자가 친 공이 타석 안에 있는 동안 타자의 몸이나 배트에 다시 맞은 경우 (번트 시도와 구분).
  • 스트라이크 카운트:
    • 노 스트라이크 또는 1스트라이크 상황에서 파울 볼은 스트라이크 카운트가 하나 올라갑니다.
    • 2스트라이크 상황에서 대부분의 파울 볼은 스트라이크 카운트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기회를 한 번 더 줌).
      • 예외: 2스트라이크 이후에 번트를 시도하여 파울이 되면 이는 삼진 아웃입니다 (번트 아웃).
  • 결과: 플레이가 즉시 멈추고, 타자는 다시 타석에 들어서 다음 투구를 기다립니다. 주자는 원래 위치로 돌아갑니다. 단, 파울 플라이를 수비수가 땅에 닿기 전에 잡으면 플라이 아웃과 동일하게 타자는 아웃됩니다.
  • 예시:
    • 타자가 친 공이 3루 쪽 파울 라인 바깥으로 굴러나갔습니다 -> 파울 볼.
    • 높이 뜬 공이 관중석으로 들어갔습니다 -> 파울 볼. (만약 수비수가 잡았다면 아웃)
    • 2스트라이크 상태, 타자가 스윙한 공이 왼쪽 파울 지역으로 날아갔습니다 -> 파울 볼 (스트라이크 카운트 변동 없음).
READ  체지방 감량을 위한 유산소 운동 BEST 10

파울 팁 (Foul Tip)

  • 정의: 타자의 배트에 살짝 스치고 방향이 약간 변하여 곧바로 포수의 미트로 빨려 들어가는 공입니다. (땅에 닿기 전에 포수가 잡아야 함)
  • 특징: 파울 볼과 달리 볼 데드가 아니라 ‘라이브 볼’ (인플레이) 상태입니다. 플레이는 계속 이어집니다.
  • 결과: 스트라이크로 기록됩니다. 만약 이것이 세 번째 스트라이크라면 타자는 삼진 아웃 처리됩니다.
  • 예시: 1볼 2스트라이크 상황, 타자가 스윙한 공이 배트 끝을 스치고 포수 미트에 바로 꽂혔습니다 -> 파울 팁, 삼진 아웃.

초보자가 알아야 할 특별 규칙 | 인필드 플라이

야구에는 특정 상황에서 공격팀을 보호하기 위한 독특한 규칙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인필드 플라이(Infield Fly)’ 규칙입니다.

인필드 플라이 규칙의 목적

  • 수비수가 쉽게 잡을 수 있는 내야 뜬공을 고의로 떨어뜨려 한번에 두 명(이중 병살) 또는 세 명(삼중 병살)의 주자를 잡으려는 의도적인 플레이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 즉, 공격팀 선수들이 수비수의 ‘꼼수’에 의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규칙입니다.

인필드 플라이 선언 조건

  • 다음 세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될 때 심판에 의해 선언됩니다.
    1. 아웃 카운트: 노 아웃(0 out) 또는 원 아웃(1 out) 상태여야 합니다. (2 아웃 상황에서는 적용되지 않음)
    2. 주자 상황: 최소한 1루와 2루에 주자가 있어야 합니다. 즉, 1, 2루 주자 또는 만루(1, 2, 3루 주자) 상황이어야 합니다. (주자가 1루만, 2루만, 3루만, 혹은 1, 3루에만 있는 경우에는 적용 안 됨)
    3. 타구: 타자가 친 공이 내야수비수가 정상적인 수비로 충분히 잡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높이의 페어 지역 뜬공(라인 드라이브나 번트 뜬공 제외)이어야 합니다. 수비 위치나 노력 여부가 아닌, ‘잡을 수 있는가’에 대한 심판의 주관적 판단이 들어갑니다.

인필드 플라이 선언 결과

  • 심판이 팔을 위로 들고 “인필드 플라이!”라고 크게 외치면 이 규칙이 적용됩니다.
  • 타자 자동 아웃: 외침과 동시에 타자는 아웃됩니다. 수비수가 실제로 공을 잡든 놓치든 상관없이 타자는 아웃 처리됩니다.
  • 주자는 진루 의무 없음: 타자가 자동 아웃되므로, 베이스에 있던 주자들은 원래 베이스에 그대로 머물러 있어도 됩니다. (포스 아웃 상태 해제)
  • 라이브 볼: 하지만 이것은 ‘인플레이’ 상황입니다. 즉, 공이 그라운드에 살아있으므로,
    • 만약 수비수가 공을 잡으면, 일반 플라이 아웃 때와 같이 주자들은 리터치 후 다음 베이스로 진루(태그업)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물론 잡힐 위험이 따릅니다.
    • 만약 수비수가 공을 놓치면, 주자들은 베이스를 떠나 다음 베이스로 뛸 수 있습니다(태그는 필요 없어짐). 하지만 역시 태그 아웃의 위험이 있습니다. 보통은 안전하게 귀루합니다.
  • 가장 중요한 점: 수비수가 공을 놓치더라도 타자는 이미 아웃 상태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의 낙구로 병살을 만들려는 시도가 원천 차단됩니다.
  • 예시: 1사 주자 만루 상황. 타자가 2루수 머리 위로 높이 뜬공을 쳤습니다. 평범하게 잡을 수 있는 타구라고 판단한 주심이 “인필드 플라이!”를 외쳤습니다. 이 순간 타자는 아웃입니다 (이제 2사). 2루수가 공을 잡았습니다. 주자들은 각 베이스에 머물러 있습니다. 만약 3루 주자가 태그업하여 홈으로 뛰었다면, 송구를 받아 태그하면 아웃시킬 수 있습니다. 만약 2루수가 공을 떨어뜨렸다면, 주자들은 그 자체로 아웃되지 않으며, 태그 전까지 안전합니다. 뛰다가 중간에 태그되면 아웃!

보이지 않는 조력자 | 베이스 코치와 심판

필드 위에는 선수들 외에도 경기를 원활하게 하고 규칙을 적용하는 중요한 역할들이 있습니다. 바로 베이스 코치와 심판입니다.

베이스 코치 (Base Coach)

  • 역할: 소속 팀의 공격 시, 파울 라인 밖 지정된 코치 박스(Coach’s Box)에서 주자와 타자에게 시각적인 신호와 구두 지시를 전달하는 코치입니다.
  • 위치:
    • 1루 코치: 1루 베이스 옆 코치 박스 위치.
    • 3루 코치: 3루 베이스 옆 코치 박스 위치.
  • 주요 임무:
    • 1루 코치:
      • 타자가 안타를 치고 1루로 달려올 때 더 진루할지 멈출지 지시 (“돌아!”, “슬라이딩!”, “서!”).
      • 1루 주자에게 투수의 견제 타이밍이나 상대 수비 정보, 리드 폭 조언.
    • 3루 코치:
      • 타구나 주자의 발 빠르기, 외야수의 송구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홈으로 쇄도할지 3루에 멈출지 결정적인 지시 (“가!”, “멈춰!”). 끝내기 상황 등 승패에 직결되는 중요한 판단을 자주 함.
      • 2루를 돌아 3루로 향하는 주자에게 정지/계속 진행 (슬라이딩 등) 신호 전달.
      • 득점과 직접 연결되는 최종 판단자 역할을 하므로 경험 많은 코치가 맡는 경우가 많음.
    • 공통:
      • 주자에게 상대 야수의 위치나 공의 위치 정보 제공.
      • 감독(덕아웃)으로부터 받은 작전 사인(번트, 히트 앤드 런 등)을 타자나 주자에게 중계.
      • 파울 볼의 공을 주워 심판에게 전달하거나 볼보이에게 넘기기도 함.

심판 (Umpire)

  • 역할: 야구 규칙을 해석하고 적용하여 경기가 공정하고 질서 있게 진행되도록 관리하고 판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KBO 리그에서는 보통 4심제(주심, 1루심, 2루심, 3루심) 또는 6심제(좌우선심 추가)로 운영됩니다.
  • 주심 (Plate Umpire):
    • 홈 플레이트 뒤, 포수 바로 뒤쪽에 위치하여 경기를 전체적으로 운영합니다.
    • 투구 판정: 투수가 던진 공의 스트라이크/볼 판정.
    • 플레이 판정: 홈에서의 득점/아웃 (태그 플레이 등), 내야의 페어/파울 타구 판정 초기 판단.
    • 경기 관리: 경기 시작/종료 선언, 선수 교체 확인, 투구 수 관리 요청, 규칙 관련 이의 제기 처리 등.
  • 루심 (Base Umpire):
    • 각 베이스(1루, 2루, 3루) 근처에 위치하여 해당 루상에서의 플레이를 책임집니다.
    • 아웃/세이프 판정: 포스 아웃, 태그 아웃 상황에서 주자가 아웃인지 세이프인지 판정.
    • 기타 판정: 라인드라이브 캐치 여부, 외야 라인 근처 타구의 페어/파울 판정에 대한 보조, 주루 방해, 수비 방해 등 해당 지역 플레이 판정.
    • 필요에 따라 위치를 옮겨가며 여러 베이스의 플레이를 커버하기도 함 (예: 2루 도루 시 2루심이 판정).
  • 심판의 판정:
    • 원칙적으로 심판의 판정은 최종적이며 경기의 일부로 간주됩니다.
    • 단, 현대 야구에서는 오심 논란을 줄이기 위해 특정 플레이(홈런 여부, 아웃/세이프, 파울/페어 등)에 대해 각 팀이 비디오 판독(Video Review, KBO의 경우 ‘비디오 판독 요청’)을 신청하여 재확인할 기회가 주어집니다 (리그 규정 및 횟수 제한 따름).
  • 대표적인 판정 신호(예시):
    • 스트라이크: 오른 주먹을 쥐고 힘차게 콜.
    • 아웃: 오른 주먹을 쥐고 위나 옆으로 명확하게 콜 (마스크 탈모 후).
    • 세이프: 양팔을 수평으로 벌려 선언.
    • 페어: 보통 아무 액션 없이 인플레이를 알리거나, 안쪽을 손으로 가리킴.
    • 파울: 양팔을 들어 올리고 “파울!” 콜.
    • 인필드 플라이: 오른팔을 높이 들어 검지를 치켜세우고 “인필드 플라이!” 콜.

베이스 코치와 심판의 역할 및 판정 신호를 이해하면 중계를 볼 때 상황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야구 초보자를 위한 기본 규칙 & 포지션 설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야구 초보자를 위한 기본 규칙 & 포지션 설명

농구 드리블 슈팅 연습 방법 | 집에서 연습하는 법

농구 초보자를 위한 기본 규칙 & 용어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