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INT, ROUND 함수: 숫자 반올림, 올림, 내림 하기

이 글에서는 엑셀 INT, ROUND 함수: 숫자 반올림, 올림, 내림 하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엑셀에서 숫자를 다룰 때 반올림, 올림, 내림은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INT 함수와 ROUND 함수를 사용하면 원하는 방식으로 숫자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엑셀 INT와 ROUND 함수의 활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엑셀 INT, ROUND 함수: 숫자 반올림, 올림, 내림 하기

INT 함수: 정수 내림

INT 함수는 주어진 숫자보다 작거나 같은 가장 큰 정수를 반환합니다. 즉,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 부분만 남깁니다. 따라서 항상 주어진 숫자보다 작거나 같은 값을 결과로 얻게 됩니다.

  • 기본 형식: INT(숫자)
  • 예시:
    • INT(3.14)는 3을 반환합니다.
    • INT(5)는 5를 반환합니다.
    • INT(-2.7)는 -3을 반환합니다. 음수의 경우, 더 작은 정수를 향해 내림됩니다.

ROUND 함수: 반올림

ROUND 함수는 지정한 자릿수로 숫자를 반올림합니다. 반올림할 자릿수를 직접 지정할 수 있어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기본 형식: ROUND(숫자, 자릿수)
  • 자릿수의 의미:
    • 양수: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의미합니다. ROUND(3.14159, 2)는 3.14를 반환합니다.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반올림)
    • 0: 정수로 반올림합니다. ROUND(3.14159, 0)는 3을 반환합니다.
    • 음수: 소수점 왼쪽의 자릿수를 의미합니다. ROUND(1234.56, -1)는 1230을 반환합니다. (십의 자리까지 반올림)
  • 예시:
    • ROUND(3.14159, 2)는 3.14를 반환합니다.
    • ROUND(3.5, 0)는 4를 반환합니다. (0.5 이상은 올림)
    • ROUND(2.49, 0)는 2를 반환합니다.
    • ROUND(1234.56, -2)는 1200을 반환합니다. (백의 자리까지 반올림)

ROUNDUP 함수: 올림

ROUNDUP 함수는 지정한 자릿수로 숫자를 올림합니다. 반올림과 달리, 올림 대상 자릿수 이하에 값이 존재하면 무조건 올림합니다.

  • 기본 형식: ROUNDUP(숫자, 자릿수)
  • 자릿수의 의미는 ROUND 함수와 동일합니다.
  • 예시:
    • ROUNDUP(3.14159, 2)는 3.15를 반환합니다.
    • ROUNDUP(3.1, 0)는 4를 반환합니다.
    • ROUNDUP(1234.56, -1)는 1240을 반환합니다.

ROUNDDOWN 함수: 내림

ROUNDDOWN 함수는 지정한 자릿수로 숫자를 내림합니다. 올림 대상 자릿수 이하에 값이 존재하더라도 무조건 내림합니다.

  • 기본 형식: ROUNDDOWN(숫자, 자릿수)
  • 자릿수의 의미는 ROUND 함수와 동일합니다.
  • 예시:
    • ROUNDDOWN(3.14159, 2)는 3.14를 반환합니다.
    • ROUNDDOWN(3.9, 0)는 3을 반환합니다.
    • ROUNDDOWN(1234.56, -1)는 1230을 반환합니다.
READ  윈도우 10 사용 꿀팁: 숨겨진 기능 활용하기

INT, ROUND, ROUNDUP, ROUNDDOWN 함수를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엑셀에서 숫자를 원하는 형태로 다룰 수 있습니다. 각 함수의 자릿수 설정에 유의하여 사용하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엑셀 INT, ROUND 함수: 숫자 반올림, 올림, 내림 하기 (계속)

EVEN 함수: 짝수로 올림

EVEN 함수는 주어진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짝수를 반환합니다. 즉, 숫자를 가장 가까운 짝수로 올림합니다. 주어진 숫자가 이미 짝수인 경우에는 그대로 값을 반환합니다.

  • 기본 형식: EVEN(숫자)
  • 예시:
    • EVEN(3)는 4를 반환합니다.
    • EVEN(4)는 4를 반환합니다.
    • EVEN(3.14)는 4를 반환합니다.
    • EVEN(-1)는 -2를 반환합니다. 음수의 경우에도 절댓값이 큰 방향의 짝수로 올림됩니다.

ODD 함수: 홀수로 올림

ODD 함수는 주어진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홀수를 반환합니다. 즉, 숫자를 가장 가까운 홀수로 올림합니다. 주어진 숫자가 이미 홀수인 경우에는 그대로 값을 반환합니다.

  • 기본 형식: ODD(숫자)
  • 예시:
    • ODD(3)는 3을 반환합니다.
    • ODD(4)는 5를 반환합니다.
    • ODD(3.14)는 5를 반환합니다.
    • ODD(-2)는 -1을 반환합니다. 음수의 경우에도 절댓값이 큰 방향의 홀수로 올림됩니다.

TRUNC 함수: 특정 자리수에서 버림

TRUNC 함수는 지정한 자릿수 아래의 숫자를 버립니다. ROUNDDOWN 함수와 유사하지만, TRUNC 함수는 자릿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정수 부분만 남깁니다. 소수점 이하 자리수뿐 아니라 정수 부분의 특정 자리 이하를 버리는 데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 기본 형식: TRUNC(숫자, 자릿수)
  • 자릿수의 의미:
    • 생략 (또는 0): 정수 부분만 남깁니다. TRUNC(3.14159)는 3을 반환.
    • 양수: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지정하여 버립니다. TRUNC(3.14159, 2)는 3.14를 반환.
    • 음수: 소수점 왼쪽의 자릿수를 지정하여 버립니다. TRUNC(1234.56, -1)는 1230을 반환 (10의 자리 이하 버림).
  • 예시:
    • TRUNC(3.14159)는 3을 반환합니다.
    • TRUNC(3.14159, 3)는 3.141을 반환합니다.
    • TRUNC(1234.56, -2)는 1200을 반환합니다.

INT 함수와 TRUNC 함수의 차이점

INT 함수와 TRUNC 함수는 모두 숫자를 버리는 기능을 하지만, 음수를 다루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INT 함수는 주어진 숫자보다 작거나 같은 가장 큰 정수를 반환하는 반면, TRUNC 함수는 단순히 지정된 자릿수 이하를 버립니다.

  • 예시:
    • INT(-3.14)는 -4를 반환합니다. (더 작은 정수)
    • TRUNC(-3.14)는 -3을 반환합니다. (소수점 이하 버림)
READ  엑셀 ABS, SIGN 함수: 절댓값, 부호 구하기

다양한 반올림 및 버림 함수들을 상황에 맞게 활용하면 엑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각 함수의 특징과 차이점을 이해하여 원하는 결과를 정확하게 얻어내도록 활용하세요.

이 글에서는 엑셀 INT, ROUND 함수: 숫자 반올림, 올림, 내림 하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엑셀 INT, ROUND 함수: 숫자 반올림, 올림, 내림 하기

엑셀 ABS, SIGN 함수: 절댓값, 부호 구하기

엑셀 FREQUENCY 함수: 데이터 빈도 분석, 히스토그램 만들기

엑셀 COUNTIF 함수: 조건에 맞는 셀 개수 세기

엑셀 IF 함수: 조건부 서식과 함께 활용하는 꿀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