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YEAR, MONTH, DAY 함수: 날짜에서 년, 월, 일 추출

이 글에서는 엑셀 YEAR, MONTH, DAY 함수: 날짜에서 년, 월, 일 추출에 대해 알아봅니다. 엑셀에서 YEAR, MONTH, DAY 함수를 사용하여 날짜 데이터에서 년, 월, 일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함수들을 활용하면 데이터 분석 및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본문에서 확인하세요.

엑셀 YEAR, MONTH, DAY 함수: 날짜에서 년, 월, 일 추출

엑셀에서 YEAR, MONTH, DAY 함수를 사용하면 날짜에서 년, 월, 일 정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들은 날짜 데이터를 분석하고 보고서를 생성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아래에서 각 함수의 사용법과 예시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YEAR 함수: 날짜에서 년 추출

YEAR 함수는 주어진 날짜에서 년도를 4자리 숫자로 반환합니다.

  • 사용 형식: YEAR(serial_number)
  • serial_number: 년도를 추출할 날짜입니다. 날짜 또는 날짜를 나타내는 숫자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엑셀은 날짜를 숫자로 저장하기 때문에 “1900년 1월 1일”을 1로 저장하고, 이후 날짜는 순차적으로 숫자가 증가합니다.
  • 예시:
    • =YEAR("2023-10-27"): 2023을 반환합니다.
    • =YEAR(DATE(2024,2,29)): 2024를 반환합니다.
    • A1 셀에 “2023-11-15” 값이 있다면 =YEAR(A1)은 2023을 반환합니다.

MONTH 함수: 날짜에서 월 추출

MONTH 함수는 주어진 날짜에서 월을 1에서 12 사이의 숫자로 반환합니다. 1은 1월, 2는 2월, …, 12는 12월을 나타냅니다.

  • 사용 형식: MONTH(serial_number)
  • serial_number: 월을 추출할 날짜입니다. 날짜 또는 날짜를 나타내는 숫자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 예시:
    • =MONTH("2023-10-27"): 10을 반환합니다.
    • =MONTH(DATEVALUE("27-Nov-2023")): 11을 반환합니다.
    • A1 셀에 “2023-12-25” 값이 있다면 =MONTH(A1)은 12를 반환합니다.

DAY 함수: 날짜에서 일 추출

DAY 함수는 주어진 날짜에서 해당 월의 며칠인지를 1에서 31 사이의 숫자로 반환합니다.

  • 사용 형식: DAY(serial_number)
  • serial_number: 일을 추출할 날짜입니다. 날짜 또는 날짜를 나타내는 숫자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 예시:
    • =DAY("2023-10-27"): 27을 반환합니다.
    • =DAY(45000): 45000이라는 숫자가 나타내는 날짜의 일을 반환합니다. (엑셀 날짜 체계 기준으로 2024년 7월 8일이므로 8을 반환합니다.)
    • A1 셀에 “2024-01-01” 값이 있다면 =DAY(A1)은 1을 반환합니다.
READ  엑셀 INT, ROUND 함수: 숫자 반올림, 올림, 내림 하기

이 세 가지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날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원하는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날짜가 포함된 여러 행에서 월별 데이터를 요약하거나, 특정 기간의 데이터만 필터링하는 등 다양한 작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엑셀 YEAR, MONTH, DAY 함수: 날짜에서 년, 월, 일 추출 (계속)

YEAR, MONTH, DAY 함수 활용 예시

이제 YEAR, MONTH, DAY 함수를 실제로 활용하는 예시를 몇 가지 살펴보겠습니다. 다음 예시들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이 함수들을 어떻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특정 날짜가 속한 분기 계산: 날짜가 어떤 분기에 속하는지 계산하려면 MONTH 함수와 CHOOSE 함수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1 셀에 날짜가 입력되어 있다면 =CHOOSE(MONTH(A1), "1분기", "1분기", "1분기", "2분기", "2분기", "2분기", "3분기", "3분기", "3분기", "4분기", "4분기", "4분기") 수식을 사용하면 해당 날짜가 속한 분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날짜 형식 변환: YEAR, MONTH, DAY 함수를 사용하여 날짜 형식을 원하는 대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1 셀에 “2024-03-15” 날짜가 있다면 =TEXT(A1, "yyyy년 mm월 dd일")처럼 TEXT 함수를 사용하여 “2024년 03월 15일”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MONTH(A1)&"월"&DAY(A1)&"일" 수식을 사용하면 “3월15일”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YEAR(A1)&"/"&MONTH(A1)&"/"&DAY(A1)을 사용하면 “2024/3/15”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 나이 계산: 오늘 날짜에서 생년월일을 빼서 나이를 계산할 수 있지만, 좀 더 정확한 나이 계산을 위해서는 YEAR, MONTH, DAY 함수가 필요합니다. A1 셀에 생년월일이 입력되어 있다면 =YEAR(TODAY())-YEAR(A1)-IF(OR(MONTH(TODAY())<MONTH(A1),AND(MONTH(TODAY())=MONTH(A1),DAY(TODAY())<DAY(A1))),1,0) 수식을 사용하면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정확한 만 나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요일 구하기: TEXT 함수와 함께 사용하여 요일을 구할 수 있습니다. A1 셀에 날짜가 입력되어 있다면 =TEXT(A1,"dddd") 수식을 이용하여 해당 날짜의 요일을 한국어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ddd”를 사용하면 요일을 줄여서 표시합니다. 영어로 표시하려면 “aaaa” 또는 “aaa”를 사용합니다.
READ  엑셀 RAND, RANDBETWEEN 함수: 난수 생성, 활용 예시

추가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팁

  • 날짜가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되어 있을 경우, DATEVALUE 함수를 사용하여 날짜 형식으로 변환해야 YEAR, MONTH, DAY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1900년 날짜 체계와 1904년 날짜 체계의 차이에 유의해야 합니다. 엑셀의 기본 설정은 1900년 날짜 체계입니다.
  • EDATE, EOMONTH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특정 월 이후 또는 이전의 날짜, 월의 마지막 날짜 등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응용하면 더욱 다양한 날짜 계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엑셀 YEAR, MONTH, DAY 함수: 날짜에서 년, 월, 일 추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엑셀 YEAR, MONTH, DAY 함수: 날짜에서 년, 월, 일 추출

엑셀 INT, ROUND 함수: 숫자 반올림, 올림, 내림 하기

엑셀 ABS, SIGN 함수: 절댓값, 부호 구하기

엑셀 RANK 함수: 순위 구하기, 다양한 옵션 활용

엑셀 AVERAGE 함수: 평균값 계산, 이것만 알면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