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ABS, SIGN 함수: 절댓값, 부호 구하기

이 글에서는 엑셀 ABS, SIGN 함수: 절댓값, 부호 구하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엑셀에서 숫자의 절댓값과 부호를 구하는 데 유용한 ABS 함수와 SIGN 함수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ABS 함수는 숫자의 절댓값을 반환하고, SIGN 함수는 숫자의 부호를 나타내는 1, 0, -1을 반환합니다. 두 함수의 사용법과 활용 예시를 통해 실무에 도움이 되도록 설명드리겠습니다.

엑셀 ABS, SIGN 함수: 절댓값, 부호 구하기

ABS 함수: 절댓값 구하기

ABS 함수는 숫자의 절댓값을 반환합니다. 절댓값이란 원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의미하며, 항상 양수 또는 0입니다. 음수의 경우 부호를 제거하고, 양수와 0의 경우 그대로 값을 반환합니다.

사용법:

excel
=ABS(number)

  • number: 절댓값을 구하고자 하는 숫자 또는 숫자가 포함된 셀을 입력합니다.

예시:

  • =ABS(-5): 결과는 5입니다.
  • =ABS(5): 결과는 5입니다.
  • =ABS(0): 결과는 0입니다.
  • A1 셀에 -10이 입력되어 있는 경우 =ABS(A1): 결과는 10입니다.
  • B1 셀에 수식 =A1*2 가 입력되어 있고 A1 셀에 -5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ABS(B1): B1의 값(-10)의 절대값인 10을 반환합니다.

SIGN 함수: 부호 구하기

SIGN 함수는 숫자의 부호를 나타내는 1, 0, -1 중 하나를 반환합니다.

사용법:

excel
=SIGN(number)

  • number: 부호를 확인하고자 하는 숫자 또는 숫자가 포함된 셀을 입력합니다.

반환값:

  • number가 양수이면 1을 반환합니다.
  • number가 0이면 0을 반환합니다.
  • number가 음수이면 -1을 반환합니다.

예시:

  • =SIGN(10): 결과는 1입니다.
  • =SIGN(-5): 결과는 -1입니다.
  • =SIGN(0): 결과는 0입니다.
  • C1 셀에 20이 입력되어 있는 경우, =SIGN(C1): 결과는 1입니다.
  • D1 셀에 수식 =C1-30이 입력되어 있고 C1 셀에 20이 입력되어 있는 경우, =SIGN(D1): D1의 값(-10)의 부호에 따라 -1을 반환합니다.

ABS 함수와 SIGN 함수의 조합

ABS 함수와 SIGN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다양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숫자의 절댓값에 원래 숫자의 부호를 곱하여 원래 숫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시:

  • =ABS(-5) * SIGN(-5): 결과는 -5입니다. (-5의 절댓값인 5에 -5의 부호인 -1을 곱했기 때문)
  • E1 셀에 -15가 입력된 경우 =ABS(E1)*SIGN(E1): 결과는 -15입니다.
READ  엑셀 AVERAGE 함수: 평균값 계산, 이것만 알면 끝!

이처럼 ABS 함수와 SIGN 함수는 간단하지만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조건부 서식이나 복잡한 수식을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ABS 함수와 SIGN 함수 활용 예시: 조건부 서식

ABS 함수와 SIGN 함수는 엑셀의 조건부 서식과 함께 사용하여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값보다 큰 숫자를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강조하고 싶은 셀 범위를 선택합니다.
  2. ‘홈’ 탭에서 ‘조건부 서식’을 클릭합니다.
  3. ‘새 규칙…’을 선택합니다.
  4. ‘수식을 사용하여 서식을 지정할 셀 결정’을 선택합니다.
  5. 수식 입력란에 =ABS(A1)>10과 같이 조건을 입력합니다. (A1은 선택한 범위의 좌측 상단 셀이며, 10은 기준값입니다.)
  6. ‘서식’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서식 (예: 빨간색 글꼴)을 설정합니다.
  7. ‘확인’을 클릭합니다.

이렇게 하면 A1 셀을 포함한 선택 영역에서 절댓값이 10보다 큰 셀의 값이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ABS 함수와 SIGN 함수 활용 예시: 변동량 분석

주식 가격이나 판매량 등의 변동량을 분석할 때 ABS 함수와 SIGN 함수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날 대비 주식 가격의 변동량과 변동 방향을 표시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열에 날짜, B열에 주식 가격이 입력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1. C2 셀에 =B2-B1을 입력하여 변동량을 계산합니다.
  2. D2 셀에 =SIGN(C2)을 입력하여 변동 방향을 표시합니다. (1은 상승, -1은 하락, 0은 변동 없음)
  3. E2 셀에 =ABS(C2)를 입력하여 변동량의 절댓값을 표시합니다.
  4. C2:E2 셀의 수식을 아래로 드래그하여 나머지 데이터에 적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C열에는 변동량, D열에는 변동 방향, E열에는 변동량의 절댓값이 표시됩니다. 이를 통해 주가의 변동 추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ABS 함수와 SIGN 함수 활용 예시: 데이터 정제

ABS 함수와 SIGN 함수는 데이터 정제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데이터에서 부호는 유지한 채 특정 값 이상의 숫자는 모두 그 값으로 바꾸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AD  엑셀 SUM 함수: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완벽 가이드

A열에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100 이상의 숫자는 모두 100으로, -100 이하의 숫자는 모두 -100으로 바꾸고 싶은 경우

  1. B1 셀에 =SIGN(A1)*MIN(ABS(A1),100) 을 입력합니다.
  2. B1 셀의 수식을 아래로 드래그하여 나머지 데이터에 적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A1 셀의 값이 120인 경우, B1 셀에는 100이 입력됩니다. A1 셀의 값이 -150인 경우, B1 셀에는 -100이 입력됩니다.

A1 셀의 값이 50인 경우 B1 셀에는 50이 입력됩니다. 즉, 부호는 유지한 채 100을 넘지 않도록 값이 조정됩니다.

이처럼 ABS 함수와 SIGN 함수는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함수와 조합하여 더욱 강력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꾸준히 사용하다 보면 데이터 분석 및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엑셀 ABS, SIGN 함수: 절댓값, 부호 구하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엑셀 ABS, SIGN 함수: 절댓값, 부호 구하기

엑셀 FREQUENCY 함수: 데이터 빈도 분석, 히스토그램 만들기

엑셀 RANK 함수: 순위 구하기, 다양한 옵션 활용

엑셀 VLOOKUP 함수: 데이터 찾기, 이제 쉽게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