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하이브 2025년 아티스트 활동 및 앨범 판매 추이 | 하이브 실적에 대해 알아봅니다. 하이브 2025년 아티스트 활동 및 앨범 판매 추세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하이브의 실적 변화 방향을 예측해 봅니다.
하이브 2025년 아티스트 활동 및 앨범 판매 추이 | 하이브 실적
2025년 하이브의 아티스트 활동 및 앨범 판매량, 그리고 전반적인 실적은 K-POP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 확장이라는 큰 틀 안에서 매우 중요한바로미터가 될 것입니다. 현재까지의 동향과 예측 가능한 변수들을 종합하여 전망해 보겠습니다.
2025년 아티스트 활동 전망
- 방탄소년단 (BTS):
- 2025년은 멤버들의 순차적 전역과 맞물려 개인 활동이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됩니다. 진 (2024년 6월 전역), 제이홉 (2024년 10월 전역 예정)을 시작으로, 다른 멤버들도 각자의 음악 및 기타 활동을 이어갈 것입니다.
- 완전체 활동 재개는 2025년 하반기 또는 2026년으로 전망되며, 이는 모든 멤버의 병역 의무 이행 완료 시점에 따라 유동적입니다.
- 솔로 앨범 발매, 기존 솔로곡 글로벌 프로모션, 예능 및 콘텐츠 출연 등이 예상됩니다.
- 세븐틴 (SEVENTEEN):
- 멤버들의 연장 계약 이후 더욱 공고해진 팀워크를 바탕으로 그룹 활동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 정규 앨범 및 미니 앨범 발매, 대규모 월드 투어 지속적인 개최, 유닛 활동 활성화 (예: 부석순) 및 자체 콘텐츠 ‘고잉 세븐틴’의 꾸준한 인기가 기대됩니다.
- 일본 시장에서의 강력한 팬덤을 기반으로 돔 투어 등 활발한 활동이 예상됩니다.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TOMORROW X TOGETHER):
- 글로벌 Z세대를 대표하는 아티스트로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입니다.
- 음악적 스펙트럼 확장, 스토리텔링 기반의 앨범 발매, 북미 및 유럽 시장을 포함한 월드 투어 규모 확대가 예상됩니다.
- 해외 유명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 등 글로벌 인지도 상승을 위한 노력이 지속될 것입니다.
- 뉴진스 (NewJeans):
- 데뷔 이후 ‘신드롬’ 급 인기를 이어가며 국내외 최정상급 걸그룹의 입지를 공고히 할 것입니다.
- 독창적인 콘셉트와 음악, 패션 스타일을 통해 트렌드를 선도하며,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와의 파트너십 확대가 예상됩니다.
- 연 2회 이상의 앨범 발매 및 주요 글로벌 음악 페스티벌 참여 등 활발한 활동이 점쳐집니다.
- 르세라핌 (LE SSERAFIM):
- 강렬한 퍼포먼스와 당당한 메시지를 통해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 정규 앨범 발매 및 단독 콘서트 투어 규모 확대, 특히 일본 시장에서의 인기를 바탕으로 현지 활동 강화가 예상됩니다.
- 멤버들의 개별 활동(예: 예능, MC) 역량 강화를 통한 그룹 시너지 확대도 기대됩니다.
- 엔하이픈 (ENHYPEN):
- 글로벌 팬덤 확장세가 두드러지며, 탄탄한 성장이 기대됩니다.
- 정규 앨범 발매 및 K-POP 보이그룹의 주요 시장인 일본, 동남아, 북미 지역에서의 투어 공연이 활발할 것입니다.
- 다크하고 몽환적인 콘셉트의 심화 또는 새로운 음악적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TEAM (앤팀):
- 일본 현지화 그룹으로서 본토에서의 입지를 다지는 한 해가 될 것입니다.
- 정규 앨범 발매 및 일본 전국 투어, 다양한 현지 방송 및 프로모션 활동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 점진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 특히 한국에서의 활동 병행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보이넥스트도어 (BOYNEXTDOOR):
- ‘옆집 소년들’이라는 친근한 콘셉트를 바탕으로 팬덤을 꾸준히 확장해 나갈 것입니다.
- 미니 앨범 중심의 꾸준한 컴백, 다양한 자체 콘텐츠를 통한 팬 소통 강화, 첫 단독 콘서트 개최 가능성 등이 점쳐집니다.
- 아일릿 (I’LL-IT):
- 2024년 데뷔한 신인으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펼치며 그룹의 색깔을 확립하는 중요한 시기가 될 것입니다.
- 데뷔 앨범의 성과를 바탕으로 후속 앨범 활동 및 국내외 프로모션, 팬덤 구축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캣츠아이 (KATSEYE):
- 하이브와 게펜 레코드의 합작 글로벌 걸그룹으로, 2024년 하반기 데뷔 후 2025년부터 본격적인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설 것입니다.
- 미국 현지 프로모션, 싱글 및 EP 발매, 방송 출연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타진할 것입니다.
- 기타 레이블 신인:
- 플레디스, 쏘스뮤직, KOZ 등 산하 레이블에서 새로운 보이그룹 또는 걸그룹 론칭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전략에 따라 각 레이블의 특성을 살린 신인 발굴은 지속될 것입니다.
2025년 앨범 판매 추이 예측
- 견조한 피지컬 앨범 판매 지속:
- K-POP 팬덤의 특징인 앨범 소장 문화와 팬 이벤트(팬사인회 등) 연동은 피지컬 앨범 판매량을 계속해서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것입니다.
- BTS 멤버들의 솔로 앨범, 세븐틴, TXT, 뉴진스, 르세라핌, 엔하이픈 등 주요 아티스트들의 꾸준한 컴백은 전체 판매량 증가에 기여할 것입니다.
- 다만, 전체 K-POP 시장의 성장세가 다소 둔화될 가능성도 있어, 전년 대비 폭발적인 성장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에서의 성장:
-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등 글로벌 음원 플랫폼에서의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비중이 더욱 커질 것입니다.
- 특히 뉴진스, 르세라핌, TXT 등 글로벌 지향 그룹들의 선전이 기대되며, 방탄소년단 멤버들의 솔로곡들도 꾸준한 스트리밍 성적을 기록할 것입니다.
- 북미 및 비영어권 시장 공략 강화:
- 미국, 일본 외 라틴 아메리카, 유럽 등 신흥 시장으로의 앨범 수출 및 음원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캣츠아이와 같은 현지화 그룹의 성과는 북미 시장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습니다.
2025년 하이브 실적 주요 포인트
- 매출 다변화 및 안정적 성장:
- 음반/음원 판매: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주요 아티스트들의 컴백 주기에 따라 분기별 변동성은 있겠으나 연간 기준으로는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 공연 수익: 대규모 월드 투어 재개 및 확대(세븐틴, TXT, 엔하이픈, 르세라핌 등)를 통해 공연 부문 매출이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MD 및 IP 활용 사업: 아티스트 IP를 활용한 상품, 게임, 웹툰, 교육 콘텐츠 등 부가 사업의 확장을 통해 수익 구조를 다변화할 것입니다.
- 위버스 (Weverse) 플랫폼: 입점 아티스트 확대, 유료 콘텐츠 및 멤버십 서비스 강화, 커머스 기능 확대로 플랫폼 수익 증대가 기대됩니다.
- 리스크 요인:
- BTS 완전체 공백 지속: 2025년에도 완전체 활동이 어렵다면, 입대 전 수준의 기록적인 실적 재현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다만 솔로 활동으로 일부 상쇄할 것입니다.
-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 소비 심리 위축은 앨범, MD, 공연 티켓 구매 등 팬들의 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K-POP 시장 경쟁 심화: 다수의 기획사에서 경쟁력 있는 신인들이 계속 데뷔하고 있어, 시장 점유율 유지를 위한 노력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 기회 요인:
- 멀티 레이블 시너지: 각 레이블의 독립성과 창의성을 유지하면서도, 하이브 본사의 지원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됩니다.
- 신규 아티스트의 성공적인 안착: 아일릿, 캣츠아이 등 신규 그룹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자리 잡는다면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 지속적인 글로벌 팬덤 확장: K-POP의 세계적인 인기는 여전히 유효하며, 적극적인 해외 활동은 신규 팬 유입을 촉진할 것입니다.
2025년 전망 요약 및 제언
2025년 하이브는 방탄소년단의 완전체 공백기를 솔로 활동과 후배 그룹들의 성장으로 슬기롭게 헤쳐나가며, 안정적인 실적 성장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세븐틴, TXT, 뉴진스, 르세라핌, 엔하이픈 등 간판 아티스트들의 글로벌 활동 확대와 신규 데뷔 그룹들의 시장 안착 여부가 전체 실적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위버스 플랫폼의 진화와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의 영향력 확대 노력 또한 하이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핵심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대한 유연한 대응과 혁신적인 시도를 통해 K-POP 산업 리더십을 공고히 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위버스 2.0 고도화 및 플랫폼 확장
2025년 하이브의 성장에 있어 위버스 플랫폼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단순한 팬 커뮤니티를 넘어, 수익 창출과 글로벌 팬덤 결집의 핵심 허브로 기능할 것입니다.
기능 고도화 및 사용자 경험 강화
- 라이브 스트리밍 기능 강화:
- 온라인 콘서트, 팬미팅, 아티스트와의 실시간 소통 등 라이브 콘텐츠의 품질 및 안정성 향상.
- 다국어 자막 지원 확대, 인터랙티브 기능(실시간 투표, Q&A) 추가를 통해 글로벌 팬들의 참여 경험 증대.
- 예시: 아티스트가 컴백 직후 진행하는 ‘컴백 라이브’나 기념일 특별 라이브 방송의 유료화 또는 멤버십 전용 공개.
- VOD 콘텐츠 다양화 및 유료화 모델 정교화:
- 독점 공개되는 오리지널 예능, 다큐멘터리, 콘서트 비하인드 등 고품질 VOD 콘텐츠 확대.
- 개별 VOD 구매, 월정액 구독 모델, 멤버십 등급별 차등 제공 등 유연한 유료화 전략 구사.
- 예시: ‘인더숲 BTS편’, ‘세븐틴 인더숲’과 같은 인기 시리즈물의 위버스 독점 시즌 공개.
- 커뮤니티 기능 활성화:
- 아티스트와 팬 간, 팬과 팬 간의 소통을 더욱 긴밀하게 지원하는 기능 추가.
- 팬레터, 팬아트 공유 공간 개선, 주제별 토론 게시판 등 커뮤니티 충성도 강화.
- AI 기반 악성 댓글 필터링 및 번역 기능 고도화로 더욱 쾌적한 커뮤니티 환경 조성.
- 커머스 기능 확장 및 개인화:
- ‘위버스샵’과의 연동 강화, 플랫폼 내에서 앨범, MD, 공연 티켓 등의 원활한 구매 경험 제공.
- 아티스트별 특화 상품, 한정판 굿즈, 디지털 콜렉터블 등 상품 라인업 다변화.
- 사용자 활동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상품 추천 기능 도입.
글로벌 서비스 확장 및 신규 아티스트 입점
- 해외 유명 아티스트 입점 확대:
-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 이타카 홀딩스 소속 아티스트 외 추가적인 글로벌 팝스타들의 위버스 입점 추진.
- 이를 통해 K-POP 팬을 넘어선 글로벌 음악 팬들을 플랫폼으로 유입시키는 효과.
- 예시: 라틴 아메리카, 유럽 등 특정 지역에서 강세를 보이는 해외 아티스트의 위버스 커뮤니티 개설.
- 위버스콘(Weverse Con) 등 오프라인 연계 강화:
- 위버스 입점 아티스트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합동 페스티벌 ‘위버스콘’의 규모 확대 및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개최.
- 플랫폼 활동과 연계된 오프라인 이벤트(팬사인회 응모, 공개방송 참여 기회 제공 등) 확대.
아티스트 IP 다각화 | 부가가치 창출
아티스트의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사업 다각화는 2025년에도 하이브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단순 MD 판매를 넘어선 고부가가치 사업으로의 확장이 예상됩니다.
콘텐츠 IP 기반 사업 확장
- 오리지널 스토리 IP 개발 및 활용:
- BTS의 ‘화양연화’, TXT의 ‘별의 노래(The Star Seekers)’와 같이 아티스트의 세계관을 담은 웹툰, 웹소설,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지속적인 출시 및 글로벌 서비스 확대.
- 신규 데뷔 그룹의 경우, 데뷔 초기부터 탄탄한 스토리 IP를 구축하여 팬덤 몰입도 증가.
- 예시: &TEAM의 경우 웹툰 ‘DARK MOON: 회색 도시’처럼 그룹의 콘셉트와 연결된 스토리 IP를 통해 팬들에게 깊이 있는 경험 제공.
- 교육 콘텐츠 사업 (하이브 에듀):
- 아티스트 IP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 교재 ‘Learn! KOREAN with BTS’와 같은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언어 및 문화 교육 콘텐츠 개발 확대.
- 음악, 댄스 등 아티스트의 전문 분야를 배울 수 있는 온라인 클래스 개설 가능성.
- 예시: 르세라핌 멤버들이 직접 참여하는 댄스 튜토리얼 시리즈, 보이넥스트도어와 함께하는 작곡/작사 입문 클래스 등.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및 라이선싱 사업
-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와의 파트너십:
- 뉴진스의 명품 브랜드 앰버서더 활동과 같이, 아티스트의 이미지와 부합하는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업 강화.
- 패션, 뷰티, 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여 브랜드 가치 제고 및 수익 창출.
- 캐릭터 사업 및 라이선싱 확대:
- 아티스트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예: BT21, 타이니탄) 상품의 지속적인 개발 및 글로벌 라이선싱 확대.
- 게임, 이모티콘, 생활용품, 식음료 등 다양한 산업군과의 제휴를 통해 IP의 일상 속 침투력 강화.
오프라인 공간 및 경험 사업
- 아티스트 테마 공간 운영 확대:
- 팝업스토어, 전시회, 카페 등 아티스트 IP를 체험할 수 있는 오프라인 공간을 국내외 주요 도시에 상시 또는 기간 한정으로 운영.
- 이를 통해 팬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 MD 판매 및 브랜드 홍보 효과 극대화.
- 예시: 하이브 인사이트(HYBE INSIGHT) 뮤지엄의 콘텐츠 업데이트 및 해외 순회 전시 가능성.
기술 융합을 통한 K-POP 콘텐츠 혁신
하이브는 2025년에도 AI, XR(확장현실) 등 첨단 기술을 K-POP 콘텐츠 제작 및 팬 경험 향상에 적극적으로 접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AI 기술의 활용 확대
- 음악 창작 및 제작 효율화:
- 인공지능 작곡, 편곡, 믹싱, 마스터링 기술(예: 수퍼톤 인수)을 활용하여 음악 콘텐츠 제작 과정의 효율성 증대.
- AI 기반 보이스 생성 기술을 활용한 다국어 콘텐츠 제작, 가상 아티스트 개발 가능성.
- 예시: 방탄소년단 멤버 정국의 AI 커버곡 프로젝트 확장이나, 특정 아티스트의 목소리로 제작된 오디오북, 내레이션 콘텐츠.
- 개인 맞춤형 콘텐츠 추천:
- 위버스를 포함한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의 청취 이력, 활동 데이터를 AI로 분석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는 음악, 영상, 상품 등을 정교하게 추천.
XR(확장현실) 및 메타버스 경험 제공
- 가상현실(VR) / 증강현실(AR) 콘텐츠 제작:
- VR 콘서트, AR 포토카드, AR 필터 등 팬들이 아티스트와 상호작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콘텐츠 제공.
- 오프라인 공연과 연동된 AR 이펙트 제공 등을 통해 더욱 몰입감 있는 경험 선사.
- 예시: 콘서트 현장에서 특정 앱을 실행하면 무대 위에 AR 효과가 덧입혀지거나, MD 상품에 AR 인식 기능을 넣어 미공개 영상 시청.
-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 자체 또는 외부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 하이브 아티스트들을 위한 가상 공간 구축.
- 가상 팬미팅, 아바타를 활용한 커뮤니티 활동, 가상 아이템 판매 등 새로운 팬 경험 및 비즈니스 모델 모색.
기술 융합의 미래 | 팬 경험 혁신 심화
하이브는 이미 도입한 AI, XR 기술 외에도 다양한 첨단 기술을 연구, 접목하며 K-POP 콘텐츠의 질을 높이고 팬들에게 전에 없던 경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할 것입니다.
블록че인 기술의 점진적 도입 가능성
-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및 거래:
- 포토카드, 팬아트, 한정판 디지털 굿즈 등에 NFT(대체 불가능 토큰) 기술을 접목하여 팬들에게 진정한 소유권을 부여하고, 2차 거래 시장에서의 투명성을 확보할 가능성.
- 단, 시장의 변동성과 규제 환경을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이 예상됨.
- 예시: 아티스트의 미공개 음원 일부나 특별한 메시지를 담은 한정판 NFT 발행.
- 투명한 팬 투표 및 커뮤니티 기여 보상:
- 블록체인 기반의 투표 시스템을 도입하여 각종 어워즈나 이벤트 투표의 공정성 및 투명성 강화.
- 커뮤니티 활동 기여도에 따른 토큰 보상 등 팬 참여를 독려하는 새로운 방식 모색.
데이터 기반 초개인화 서비스 강화
- 위버스 및 기타 플랫폼 데이터 통합 분석 L
- 팬들의 활동, 구매, 콘텐츠 소비 패턴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아티스트 활동 방향 설정 및 콘텐츠 기획에 활용.
- AI를 통해 팬 개개인의 취향을 예측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앨범 버전, MD 상품, 공연 좌석 등을 추천하는 서비스 고도화.
- 예시: 특정 멤버의 콘텐츠를 자주 소비하는 팬에게 해당 멤버의 개인 활동 정보나 관련 상품을 우선적으로 노출.
멀티 레이블 시너지 극대화 | 창작 자율성 보장
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체제는 2025년에도 각 레이블의 독립적인 창작 환경을 존중하면서도, 하이브 본사의 인프라와 노하우를 공유하여 시너지를 내는 방향으로 더욱 발전할 것입니다.
각 레이블의 음악적 개성 강화
- 레이블 별 독립적 A&R 운영:
- 빅히트 뮤직, 플레디스, 쏘스뮤직, KOZ 엔터테인먼트, 어도어 등 각 레이블이 자체적인 음악적 색깔과 프로듀싱 시스템을 유지하며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육성.
- 다양한 장르와 콘셉트의 아티스트 포트폴리오를 통해 K-POP 시장의 다변화하는 수요 충족.
- 예시: KOZ 엔터테인먼트의 보이넥스트도어가 지코의 프로듀싱 하에 독창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것처럼, 각 레이블 대표 프로듀서의 역할 강조.
- 레이블 간 협업 및 교류 프로그램:
- 필요에 따라 레이블 소속 프로듀서, 작곡가, 안무가 등 제작진 간의 협업 프로젝트 진행.
- 내부적인 워크숍이나 세미나를 통해 성공 사례 및 노하우 공유, 전반적인 제작 역량 상향 평준화.
하이브 본사의 통합 지원 효율화
- 글로벌 마케팅 및 프로모션 지원:
- 하이브 아메리카, 하이브 재팬 등 현지 법인을 통한 레이블 소속 아티스트들의 해외 시장 진출 및 활동 종합 지원.
- 위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전 세계 팬 대상의 통합 마케팅 캠페인 전개.
- 기술, 법무, 재무 등 전문 분야 지원:
- 첨단 기술 R&D 결과 공유, 법률 자문, 자금 조달 등 레이블이 음악 창작에 집중할 수 있도록 비음악적 전문 영역 지원 강화.
글로벌 시장 확장 전략 | 현지화 심화
하이브는 기존 주력 시장 외에도 신흥 시장으로의 확장을 가속화하며, 현지 문화와 팬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을 구사할 것입니다.
북미 시장 내 입지 공고화
- 이타카 홀딩스와의 시너지 본격화:
-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 이타카 소속 아티스트와의 협업, 하이브 아티스트의 미국 현지 네트워크 활용 강화.
- 캣츠아이(KATSEYE)의 성공적인 데뷔 및 활동을 통한 미국 시장 직접 공략 모델 발전.
- 현지 프로듀서, 작곡가와의 협업을 통한 음악적 다양성 확보 및 현지 친화적 콘텐츠 제작.
- 현지 매니지먼트 및 A&R 시스템 강화:
- 하이브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현지 인력 확충 및 독립적인 아티스트 발굴 및 육성 기능 강화.
- 미국 내 K-POP 팬덤을 넘어 일반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프로모션 전략 구사.
일본 시장에서의 리더십 유지 및 확대
- &TEAM의 지속적 성장 지원:
- 일본 현지 팬덤을 겨냥한 앨범 발매, 투어 등 활발한 활동 지원 및 점진적인 글로벌 인지도 확장 도모.
- 일본 예능, 방송 프로그램, 광고 모델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활동 영역 확대.
- 기존 그룹의 현지화 활동 강화:
- 세븐틴,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르세라핌, 엔하이픈 등 기존 그룹의 일본어 앨범 발매, 돔 투어 등 일본 시장 맞춤형 활동 지속.
- 일본 현지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 및 J-POP 시장과의 교류 확대.
신흥 시장 개척 및 팬덤 확장
- 동남아시아 및 라틴 아메리카 시장 공략:
- 높은 K-POP 인기를 구가하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의 팬 이벤트, 콘서트 투어, 현지 콘텐츠 파트너십 강화.
- 성장 잠재력이 큰 라틴 아메리카 시장 진출을 위한 시장 조사, 현지 프로모터와의 협력, 스페인어/포르투갈어 콘텐츠 제작 고려.
- 예시: 위버스 플랫폼 내 동남아/라틴 아메리카 언어 지원 확대 및 현지 인플루언서와의 협업 마케팅.
- 유럽 시장에서의 K-POP 저변 확대:
- 주요 음악 페스티벌 참여, 단독 콘서트 개최 도시 다변화, 현지 미디어와의 관계 구축을 통해 유럽 내 팬덤 기반 확대.
지속가능경영(ESG) 강화 | 기업가치 제고
하이브는 2025년에도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며, 장기적인 기업가치 향상에 힘쓸 것입니다.
환경적 책임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 친환경 앨범 및 MD 제작 확대:
- 재활용 소재 사용, 포장 간소화 등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앨범 및 상품 제작 방식 도입.
- 디지털 앨범 활성화 및 플랫폼 앨범(예: 위버스 앨범) 비중 확대를 통한 실물 음반 생산량 조절.
- 공연 및 사업장 탄소 발자국 감축 노력:
- 공연 장비 운송 효율화, 에너지 절약형 조명 사용 등 콘서트 개최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 감소 방안 모색.
- 사옥 및 사업장 내 신재생 에너지 사용 확대 및 폐기물 관리 시스템 개선.
사회적 기여 (Social Contribution)
- 아티스트 및 구성원 권익 보호:
- 아티스트의 건강(신체적, 정신적) 관리 지원 프로그램 강화, 창작 활동 환경 개선.
- 구성원의 다양성 존중 및 포용적인 기업 문화 조성, 공정한 보상 체계 확립.
- 긍정적 사회 영향력 확대 캠페인:
- 아티스트와 함께 하는 사회 공헌 활동(기부, 공익 캠페인 참여 등) 지속 및 확대.
- 교육, 환경 보호, 문화 다양성 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프로젝트 지원.
- 예시: 방탄소년단의 UNICEF ‘LOVE MYSELF’ 캠페인과 같은 글로벌 캠페인 경험을 타 아티스트로 확산.
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 (Governance)
- 이사회 중심의 책임 경영 강화:
-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 및 독립성 확보, 전문성을 갖춘 사외이사 역할 증대.
- 주요 경영 사안에 대한 투명한 의사결정 과정 및 윤리 경영 기준 준수.
- 주주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확대:
- 정기적인 기업 설명회(IR) 개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등을 통해 경영 성과와 비전을 투명하게 공개.
-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경영 활동에 반영하려는 노력 지속.
팬덤 소통 강화와 수익 모델 다변화
하이브는 2025년에도 팬들과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수익 모델을 더욱 고도화하며 다변화해 나갈 것입니다. 기술 발전과 변화하는 팬덤 문화에 발맞춘 새로운 시도들이 예상됩니다.
데이터 기반 팬 경험 초개인화 심화
- 위버스 및 관련 플랫폼 데이터 통합 활용:
- 팬들의 콘텐츠 소비 이력, 앨범 및 MD 구매 패턴, 커뮤니티 활동 내역 등 방대한 데이터를 정교하게 분석하여 개별 팬의 특성 및 선호도를 파악합니다.
-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콘텐츠 추천, 개인화된 알림 서비스, 타겟 마케팅 등을 통해 팬 만족도와 충성도를 극대화할 것입니다.
- 예시: 특정 멤버의 솔로 활동에 높은 관심을 보인 팬에게 관련 미공개 포토나 비하인드 영상 푸시 알림, 해당 멤버 관련 MD 선주문 기회 제공.
- AI 챗봇 및 가상 비서 활용:
- 24시간 응대가 가능한 AI 챗봇을 통해 팬들의 단순 문의사항 해결 및 정보 제공.
- 장기적으로는 아티스트의 페르소나를 반영한 가상 비서 서비스를 통해 팬들에게 더욱 친밀하고 개인화된 소통 경험을 제공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온·오프라인 결합 팬 이벤트 고도화
- 경험 중심의 프리미엄 이벤트 기획:
- 단순 팬사인회를 넘어, 아티스트와 팬이 함께 특정 경험을 공유하는 소규모 프리미엄 이벤트 확대 (예: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쿠킹 클래스, 작업실 탐방, 미니 토크 콘서트 등).
- 위버스 멤버십 등급과 연동하여 차등화된 참여 기회 제공.
- 확장현실(XR) 기술 접목 오프라인 이벤트:
- 오프라인 팬미팅이나 콘서트 현장에서 AR 포토존 운영, VR을 통한 백스테이지 체험 등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 지리적 제약으로 인해 오프라인 참여가 어려운 글로벌 팬들을 위해, 온라인 XR 생중계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켜 현장감을 높일 것입니다.
디지털 상품 및 서비스의 질적 성장
- 디지털 콜렉터블 및 NFT의 신중한 접근 및 활용 진화:
- 아티스트의 포토카드, 영상 클립, 미공개 음원 등을 디지털 자산화하여 팬들에게 소유의 가치를 제공.
- 초기 투기적 성격보다는, 아티스트와의 교감, 커뮤니티 내에서의 인증 및 활동 증명 등 실제적인 유틸리티와 팬덤 가치를 중심으로 한 NFT 모델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 예시: 특정 NFT 보유자에게만 제공되는 멤버십 전용 콘텐츠 접근 권한, 온라인 이벤트 우선 참여권 등.
- 위버스 DM 등 유료 소통 서비스 안정화 및 확대:
- 아티스트와 팬 간의 직접적인 유료 메시징 서비스인 위버스 DM의 서비스 안정성을 높이고, 참여 아티스트를 점진적으로 확대.
- 구독료 기반의 안정적인 수익 모델로 자리매김하며, 팬들에게는 아티스트와 더욱 가까워지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
글로벌 인재 육성 시스템 | 크리에이터 생태계
하이브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우수한 아티스트와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인재 육성 시스템 및 건강한 크리에이터 생태계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현지화 트레이닝 시스템의 진화
- ‘The Debut: Dream Academy’ 모델 확산:
- 캣츠아이(KATSEYE)를 배출한 미국 현지 오디션 및 트레이닝 시스템의 성공 모델을 다른 주요 거점(예: 일본, 라틴 아메리카 등)에도 적용하는 것을 고려.
- 현지 문화와 시장 특성을 반영한 트레이닝 커리큘럼 개발 및 현지 전문가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스탠다드와 현지 최적화를 동시에 추구.
- 다국적 연습생 통합 관리 및 교류 시스템:
- 각 레이블 및 해외 법인에서 발굴된 다양한 국적의 연습생들이 서로 교류하며 성장할 수 있는 글로벌 캠프 또는 통합 트레이닝 프로그램 운영.
- 언어 및 문화 교육 지원을 강화하여 다국적 그룹 멤버 간의 시너지 극대화.
글로벌 크리에이터 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
- 전 세계 유수 프로듀서, 작곡가, 안무가와의 협업 강화:
- 기존 협력 네트워크를 넘어,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을 가진 해외 크리에이터 풀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파트너십을 구축.
- 아티스트의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히고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는 콘텐츠 제작.
- 예시: 북유럽의 팝 작곡가, 남미의 리듬 프로듀서, 인도의 안무가 등과 하이브 소속 아티스트의 협업 프로젝트 추진.
- 내부 크리에이터 양성 및 독립 스튜디오 지원:
- 하이브 및 산하 레이블 소속 프로듀서들의 창작 활동을 장려하고, 독립적인 스튜디오 설립 및 운영을 지원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자유롭게 발현될 수 있는 환경 조성.
- 내부 작곡/작사 캠프, 프로듀싱 워크숍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역량 강화 도모.
도전적 신사업 발굴 | 미래 경쟁력 확보
음악 산업을 기반으로 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연관 산업으로의 확장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미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지식재산권(IP) 기반 게임 사업 고도화
- ‘인더섬 with BTS’ 성공 이은 신규 게임 출시:
- 기존 아티스트 IP를 활용한 캐주얼 게임 외에도, 세계관과 스토리를 심도 있게 경험할 수 있는 RPG,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추진.
- 하이브IM을 중심으로 전문 게임 개발 인력 확보 및 외부 유망 스튜디오와의 협력 강화.
- 예시: 뉴진스의 트렌디한 감성을 살린 리듬 게임, 르세라핌의 강인한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 개발.
- 오리지널 IP 기반 게임 개발 시도:
- 아티스트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나, 하이브가 창조한 독자적인 스토리 IP(웹툰, 웹소설 등)를 기반으로 한 게임 개발을 통해 사업 영역의 순수 확장 가능성 모색.
체험형 콘텐츠 및 공간 사업 확장
- 플래그십 스토어 및 테마 공간의 글로벌 확장:
- 아티스트 IP를 경험할 수 있는 플래그십 스토어 ‘HYBE MERCH’, 전시 공간 ‘HYBE INSIGHT’ 등을 K-POP 팬덤이 큰 해외 주요 도시에 전략적으로 출점.
- 단순 상품 판매를 넘어 F&B, 인터랙티브 체험존 등을 결합한 복합 문화 공간으로 발전.
- 아티스트 테마 호텔 또는 리조트 사업 검토:
- 장기적으로는 특정 아티스트나 하이브의 브랜드를 테마로 한 숙박 시설 운영을 통해 팬들에게 몰입도 높은 경험을 제공하고 신규 수익원 창출 가능성. 엔터테인먼트와 숙박의 결합 모델 탐색.
에듀테크 및 건강 관련 사업 잠재력 탐색
- 하이브 에듀 콘텐츠 카테고리 확장:
- 한국어 학습을 넘어, 아티스트가 가진 강점(보컬, 댄스, 패션 스타일링 등)을 교육 콘텐츠로 개발하여 글로벌 팬들에게 제공.
- 위버스 플랫폼을 통해 아티스트가 직접 참여하는 온라인 마스터 클래스 형태의 서비스 제공.
- 팬들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지원 사업:
-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운동 챌린지, 명상 콘텐츠, 건강 식단 레시피 등 팬들의 웰빙에 기여하는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
- 장기적으로 관련 상품(예: 운동복, 건강 보조 식품) 출시로 연계 가능성.
위기 관리 강화 및 조직 문화 혁신
기업의 규모가 커지고 사업 영역이 다각화됨에 따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유연하고 창의적인 조직 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해집니다.
선제적 리스크 관리 시스템 고도화
- 아티스트 관련 리스크 관리 체계 강화:
- 아티스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관리를 위한 전담팀 운영 및 전문 의료기관과의 협력 확대, 심리 상담 프로그램 의무화.
- 소셜 미디어상 루머, 악성 댓글, 사생활 침해 등에 대한 법적 대응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 사업 환경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 경영:
- 글로벌 경기 변동, 플랫폼 규제 변화, 기술 패러다임 전환 등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비상 계획(Contingency Plan) 수립.
- IP 침해, 사이버 보안 위협 등에 대한 대응 프로토콜 정비.
창의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조직 문화
- 멀티 레이블 간 건강한 경쟁 및 협력 문화 조성:
- 각 레이블의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하되, 성공 사례 공유, 공동 프로젝트 기회 창출 등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협력 체계 구축.
-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보상을 통해 동기 부여 및 건전한 경쟁 유도.
- 개방적 소통 및 수평적 의사결정 문화 장려:
- 직급이나 연차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고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는 기업 문화 조성.
- 실패를 용인하고 도전을 장려하는 분위기를 통해 혁신적인 시도가 지속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지원.
- 정기적인 타운홀 미팅, 익명 게시판 등을 통해 경영진과 직원 간 쌍방향 소통 활성화.
이 글에서는 하이브 2025년 아티스트 활동 및 앨범 판매 추이 | 하이브 실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